산재보험 판례
- 제목
-
[통상임금]통상임금의 의의 및 통상임금의 개념적 징표로서 ‘고정성’의 의미, 甲 주식회사가 노동조합과 매년 임금협상을 하면서 기본급 등에 관한 임금인상 합의가 기준일을 지나서 이루어지는 경우 임금인상 소급분이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에서 정한 통상임금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대법원2021. 8. 19. 선고 2017다56226 판결 〔임금〕
- 작성일
- 2021.10.14
- 첨부파일0
- 조회수
- 347
[통상임금]통상임금의 의의 및 통상임금의 개념적 징표로서 ‘고정성’의 의미, 甲 주식회사가 노동조합과 매년 임금협상을 하면서 기본급 등에 관한 임금인상 합의가 기준일을 지나서 이루어지는 경우 임금인상 소급분이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에서 정한 통상임금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대법원2021. 8. 19. 선고 2017다56226 판결 〔임금〕
[1] 통상임금의 의의 및 통상임금의 개념적 징표로서 ‘고정성’의 의미
[2] 甲 주식회사가 노동조합과 매년 임금협상을 하면서 기본급 등에 관한 임금인
상 합의가 기준일을 지나서 이루어지는 경우 인상된 기본급을 기준일로 소급
하여 적용하기로 약정하고, 이에 따라 매년 소급기준일부터 합의가 이루어진
때까지 소정근로를 제공한 근로자들에게 임금인상 소급분을 일괄 지급하는
한편 임금인상 합의가 이루어지기 전에 퇴직한 근로자들에게는 이를 지급하
지 않은 사안에서, 임금인상 소급분이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에서 정한 통
상임금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1] 근로기준법이 연장⋅야간⋅휴일 근로에 대한 가산임금 등의 산정 기준으로
규정하고 있는 통상임금은 근로자가 소정근로시간에 통상 제공하는 근로인
소정근로의 대가로 지급하기로 약정한 금품으로서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
로 지급되는 임금을 말한다. 여기서 ‘고정성’이란 근로자가 임의의 날에 소정
근로를 제공하면 업적, 성과 기타 추가 조건의 충족 여부와 관계없이 당연히
지급될 것이 예정되어 있는 성질을 의미한다.
[2] 甲 주식회사가 노동조합과 매년 임금협상을 하면서 기본급 등에 관한 임금인
상 합의가 기준일을 지나서 이루어지는 경우 인상된 기본급을 기준일로 소급
하여 적용하기로 약정하고, 이에 따라 매년 소급기준일부터 합의가 이루어진
때까지 소정근로를 제공한 근로자들에게 임금인상 소급분을 일괄 지급하는
한편 임금인상 합의가 이루어지기 전에 퇴직한 근로자들에게는 이를 지급하
지 않은 사안에서, 근로자와 사용자가 소정근로의 가치를 평가하여 그에 대
한 대가로 정한 이상 단체협상의 지연이라는 우연한 사정으로 인해 소급적용
되었다 하여 통상임금이 아니라고 할 수는 없는 점, 임금인상 소급분이라고
하더라도 단체협약 등에서 이를 기본급, 정기상여금과 같이 법정 통상임금에
해당하는 임금으로 정하였다면 그 성질은 원래의 임금과 동일한 점, 임금인
상 소급분을 통상임금에 포함하지 않는다면 연장⋅야간⋅휴일 근로에 대한
가산임금 등을 산정하는 기준임금으로서 통상임금의 기능적 목적에 반하는
점, 근로자들은 매년 반복된 합의에 따라 임금이 인상되면 소급기준일 이후
의 임금인상 소급분이 지급되리라고 기대할 수 있었고, 임금인상 소급분은
근로자가 업적이나 성과의 달성 등 추가 조건을 충족해야만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근로의 제공에 대한 보상으로 당연히 지급될 성질의 것이므로 고
정성을 갖추고 있다고 보아야 하는 점, 甲 회사는 임금인상 합의가 이루어지
기 전에 퇴직한 근로자들에게는 임금인상 소급분을 지급하지 않았으나, 이는
임금 등 근로조건을 결정하는 기준을 소급적으로 변경하는 내용의 단체협약
의 효력이 단체협약 체결 이전에 이미 퇴직한 근로자에게 미치지 않기 때문
에 발생하는 결과에 불과한 점을 이유로, 임금인상 소급분은 근로기준법 시
행령 제6조에서 정한 통상임금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하는데도, 이와 달리 본
원심판단에 법리오해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