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산재보험 판례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287 [석탄산업법에 따른 유족보상일시금 상당의 재해위로금 수급권자에 관한 사건]개정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라 ‘진폐유족연금’을 받는 유족이 구 석탄산업법 시행령(1993. 3. 6. 대통령령 제1387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1조 제3항 제5호(이하 ‘이 사건 조항’이라 한다)에 따른 유족보상일시금 상당액의 재해위로금 지급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 대법원 2019두61717 재해위로금부지급처분취소 (다) 파기환송 관리자 2020.10.21 494
286 [산재 합병증 사망 보상금]산업재해로 치료를 받던 근로자가 세균에 감염되어 사망하였다면, 근로복지공단이 업무상 재해를 인정해 유족급여와 장의비 등을 지급해야 한다고 판결한 사례, 산재치료 중 합병증으로 사망했다면(울산지방법원 2018구합7055) 관리자 2020.10.13 504
285 [산재사망보상금, 근로자여부]공사현장에서 굴삭기를 운전하다 사고로 사망하였는데, 망인은 대표이사로서 근로자로 볼 수 없고 건설기계 운전면허가 없는 상태에서 굴삭기를 운전하다 발생한사건, 유족급여및장의비부지급처분취소(전주지방법원 2019구단842) 관리자 2020.10.13 574
284 [산재보상 공동상속인]업무상 재해로 사망한 근로자로부터 공동상속인들이 상속한 망인의 일실수입 상당 손해배상채권에서 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의하여 수급권자에게 지급된 유족급여를 공제하는 방법,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8다13104 전원합의체 판결 [양수금] 관리자 2020.09.24 628
283 [산재보상 자동차보험금 압류]근로복지공단이 유족급여를 지급하고 유족급여수급자를 대위하여 행사하는 보험사업자등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채권에 대하여, 구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32조의 압류 또는 양도 금지 규정이 적용되는지 여부, 대법원 2009. 12. 10. 선고 2007다30171 판결 [구상금] 관리자 2020.09.24 419
282 건설공사 도급인이 수급인의 근로자에 대하여 부담하는 산업재해예방조치 의무의 구체적 내용, 산업재해가 보험가입자와 제3자의 공동불법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경우, 근로복지공단이 제3자에 대하여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는 범위, 대법원 2010. 5. 13. 선고 2007다82059 판결 [구상금] 관리자 2020.09.24 479
281 [근로자폭력 산재보상]근로자가 타인의 폭력에 의하여 재해를 입은 경우, 업무상 재해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판단 기준, 소속 근로자 丙, 丁과 乙의 피용자 戊가 다투게 되었고 결국 丁이 戊를 폭행하여 상해를 입게 한 사안, 대법원 2011. 7. 28. 선고 2008다12408 판결 [구상금] 관리자 2020.09.24 425
280 [보험급여반환 산재보상]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53조 제1항 제3호는 그 효력의 발생 이전에 과오급된 보험급여에 대하여 소급적용되지 않으므로 위 과오급된 보험급여를 환수할 권리는 같은 법상의 징수권이 아니라 민법상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고, 따라서 그 소멸시효기간은 민법상의 일반원칙에 따라 10년이 된다고 한 사례 , 대법원 2005. 5. 13. 선고 2004다8630 판결 [구상금] 관리자 2020.09.24 554
279 [부정수급 산재보상]근로복지공단이 부정한 방법으로 보험급여를 받은 사람에게 보험급여의 2배 상당액을 징수하는 결정처분을 한 사안에서, 부당이득징수권이 시효소멸하였으므로 위 처분은 위법하다고 한 사례, 서울고등법원 2009. 1. 14. 선고 2008누18153 판결 [부당이득징수결정처분취소] 상고 관리자 2020.09.24 734
278 [휴업급여 산재보상]근로복지공단의 요양불승인처분에 대한 취소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확정판결을 받은 근로자가 요양으로 인하여 취업하지 못한 기간의 휴업급여를 청구한 경우, 그 휴업급여청구권이 시효완성으로 소멸하였다는 근로복지공단의 항변이 신의성실의 원칙에 반하여 허용될 수 없는지 여부, 대법원 2008. 9. 18. 선고 2007두2173 전원합의체 판결 [휴업급여부지급처분취소] 관리자 2020.09.24 436
277 [기아차 통상임금]기아자동차를 제조·판매하는 갑 주식회사가 상여금과 영업직 근로자들에게 지급된 일비, 중식대를 제외한 채 통상임금을 산정한 후 이를 기초로 근로자들에게 연장근로수당 등을 지급하였는데, 갑 회사의 근로자인 을 등이 상여금 등을 통상임금에 포함하여 재산정한 연장근로수당 등의 미지급분의 지급을 구한 사안, 서울중앙지방법원 2017. 8. 31. 선고 2011가합105381, 105398, 105404, 105411 판결 [임금] 관리자 2020.09.24 494
276 [뇌경색 뇌졸중 산재보상]근무하다가 대뇌경색을 상병으로 하여 요양승인을 받은 乙이 요양 종결 후 좌측 숨골 급성기 뇌경색이 새로 발생하여 재요양 신청을 하였으나 근로복지공단이 재요양불승인처분을 한 사안에서, 재요양 신청 상병과 종전 상병인 대뇌경색 사이에 의학상 상당인과관계가 없다고 한 사례, 울산지방법원 2014. 1. 16. 선고 2012구합2324 판결 [재요양불승인처분취소] [각공2014상,274] 항소 관리자 2020.09.24 510
275 [재요양 산재보상]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재요양 대상이 되기 위한 요건 / 그중 의학상 상당인과관계의 의미 및 그 증명의 방법과 정도, 대법원 2017. 7. 11. 선고 2014두14587 판결 [재요양불승인처분취소] 관리자 2020.09.24 375
274 [유족급여 산재보상]보험급여를 받은 자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99조 제2항 내지 제4항의 규정에 의한 신고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함으로써 부당하게 보험급여를 지급받은 경우, 서울고등법원 2005. 8. 23. 선고 2004누20622 판결 [유족급여및일부부지급처분취소] 상고 관리자 2020.09.23 412
273 [산재보험금 수급권자 사망시 승계인]업무상의 과로나 스트레스가 질병의 주된 원인에 겹쳐서 질병을 유발 또는 악화시킨 경우, 업무와 질병 사이에 인과관계가 인정되는지 여부와 그 인과관계의 증명 정도 및 판단 기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보험급여의 수급권자가 사망한 경우, 그 수급권의 승계인, 대법원 2006. 3. 9. 선고 2005두13841 판결 [요양불승인처분취소] 관리자 2020.09.23 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