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사회적관심 판례

제목

부동의한 녹음파일 사본의 피고인 진술내용을 증거로 하기 위한 요건 / 대법원 2012 7461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3.10.03
첨부파일0
조회수
2111
내용

 

대법원 제2부 판결

- 1 -
사 건 도 2012 7461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공갈)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구만회 외 1인
변호사 백영엽
법무법인 온 담당변호사 양태열 외 2인
원 심 판 결 서울고등법원 2012. 6. 7. 선고 2012노747 판결
판 결 선 고 2012. 9. 13.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나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 2 -
피고인과 상대방 사이의 대화 내용에 관한 녹취서가 공소사실의 증거로 제출되어 그
녹취서의 기재 내용과 녹음테이프의 녹음 내용이 동일한지 여부에 대하여 법원이 검증
을 실시한 경우에 증거자료가 되는 , 것은 녹음테이프에 녹음된 대화 내용 그 자체이고,
그 중 피고인의 진술 내용은 실질적으로 형사소송법 제311조, 제312조의 규정 이외에
피고인의 진술을 기재한 서류와 다름없어, 피고인이 그 녹음테이프를 증거로 할 수 있
음에 동의하지 않은 이상 그 녹음테이프에 녹음된 피고인의 진술 내용을 증거로 사용
하기 위해서는 형사소송법 제313조 제1항 단서에 따라 공판준비 또는 공판기일에서
그 작성자인 상대방의 진술에 의하여 녹음테이프에 녹음된 피고인의 진술 내용이 피고
인이 진술한 대로 녹음된 것임이 증명되고 나아가 그 진술이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
태하에서 행하여진 것임이 인정되어야 한다(대법원 2001. 10. 9. 선고 2001도3106 판
결, 대법원 2004. 5. 27. 선고 2004도1449 판결, 대법원 2008. 12. 24. 선고 2008도
9414 판결 등 참조). 또한, 대화 내용을 녹음한 파일 등의 전자매체는 그 성질상 작성
자나 진술자의 서명 또는 날인이 없을 뿐만 아니라, 녹음자의 의도나 특정한 기술에
의하여 그 내용이 편집, 조작될 위험성이 있음을 고려하여, 그 대화 내용을 녹음한 원
본이거나 원본으로부터 복사한 사본일 경우에는 복사과정에서 편집되는 등의 인위적
개작 없이 원본의 내용 그대로 복사된 사본임이 입증되어야 한다(대법원 2005. 12. 23.
선고 2005도2945 판결, 대법원 2007. 3. 15. 선고 2006도8869 판결 등 참조).
적법하게 채택․조사한 증거들에 의하면, ① 피해자의 대표자 공소외인이 디지털 녹
음기로 피고인과의 대화를 녹음한 후 자신의 사무실로 돌아와 디지털 녹음기에 저장된
녹음파일 원본을 컴퓨터에 복사하고 디지털 녹음기의 파일 원본을 삭제한 뒤 피고인과
의 다음 대화를 다시 녹음하는 과정을 반복한 사실, ② 공소외인은 검찰과 제1심 법정
- 3 -
에서 이 사건 녹음파일 사본은 피고인과 대화를 자신이 직접 녹음한 파일 원본을 컴퓨
터에 그대로 복사한 것으로서 위 녹음파일 사본과 해당 녹취록 사이에 동일성이 있다
고 진술한 사실 피고인도 검찰과 , ③ 제1심 법정에서 이 사건 녹음파일 사본을 모두
들어본 뒤 일부 파일에 인사말 등이 녹음되지 않은 것 같다는 등의 지적을 한 외에는
녹음된 음성이 자신의 것이 맞을 뿐만 아니라 그 내용도 자신이 진술한 대로 녹음되어
있으며 이 사건 녹음파일 사본의 내용대로 해당 녹취록에 기재되어 있다는 취지로 진
술한 사실, ④ 대검찰청 과학수사담당관실에서 이 사건 녹음파일 사본과 그 녹음에 사
용된 디지털 녹음기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정밀
감정한 결과 이 사건 녹음파일 사본에 편집의 흔적을 발견할 수 없고, 이 사건 녹음파
일 사본의 파일정보와 녹음 주파수 대역이 위 디지털 녹음기로 생성한 파일의 그것들
과 같다고 판정한 사실 등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관계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피해자의 대표자인 공소외인이
피고인과 대화하면서 녹음한 이 사건 녹음파일 사본은 타인 간의 대화를 녹음한 것이
아니므로 타인의 대화비밀 침해금지를 규정한 통신비밀보호법 제14조의 적용 대상이
아니고(대법원 2001. 10. 9. 선고 2001도3106 판결 참조), 위 녹음파일 사본은 그 복사
과정에서 편집되는 등의 인위적 개작 없이 원본의 내용 그대로 복사된 것으로 대화자
들이 진술한 대로 녹음된 것으로 인정된다. 나아가 녹음 경위, 대화 장소, 내용 및 대
화자 사이의 관계 등에 비추어 그 진술이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하에서 행하여진
것으로 인정되므로 위 녹음파일 사본과 해당 녹취록을 증거로 사용할 수 있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녹음파일 사본과 해당 녹취록의 증거능력을 인정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증거능력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
- 4 -
다.
2. 상고이유 제2 내지 4점에 대하여
공갈죄의 수단으로서 협박은 사람의 의사결정의 자유를 제한하거나 의사실행의 자유
를 방해할 정도로 겁을 먹게 할 만한 해악을 고지하는 것을 말한다. 해악의 고지는 반
드시 명시의 방법으로 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언어나 거동으로 상대방으로 하여금 어
떠한 해악에 이르게 할 것이라는 인식을 갖게 하는 것이면 충분하다. 또한, 직접적이
아니더라도 피공갈자 이외의 제3자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할 수도 있으며, 행위자가 그
의 직업, 지위를 가지고 불법한 위세를 이용하여 재물의 교부를 요구하고 상대방으로
하여금 그 요구에 응하지 아니한 때에는 부당한 불이익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는 위구
심을 야기하게 하는 경우에도 해악의 고지가 된다(대법원 2002. 12. 10. 선고 2001도
7095 판결, 대법원 2003. 5. 13. 선고 2003도709 판결 등 참조). 한편 해악의 고지가
권리실현의 수단으로 사용된 경우라고 하여도 그것이 권리행사를 빙자하여 협박을 수
단으로 상대방을 겁을 먹게 하였고 권리실행의 수단 방법이 사회통념상 허용되는 정도
나 범위를 넘는다면 공갈죄가 성립한다(대법원 2007. 10. 11. 선고 2007도6406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적법하게 채택․조사한 증거들에 의하여 판시 사실
을 인정한 다음 그 판시 사정에 비추어, 피고인이 ○○광역시 △구청장의 지위에서 피
해자 조합의 토지구획정리사업 완료에 필수적인 공사 등에 관한 협의 권한이 있음을
기화로 승소 가능성이 거의 없는 이 사건 소를 제기한 뒤 피고인의 요구대로 조정에
응하지 않으면 위 사업 완료를 위한 관련 협의가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고 피해자의 대
표자인 공소외인을 협박하여, 위 사업이 제대로 마무리되지 않을 경우 피해자가 피해
- 5 -
를 볼 것을 우려하여 이 사건 조정합의에 이르렀다고 보아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공갈죄에서 해악의 고지 및 이로 말미암은 외포 내지 그 인과관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 등이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
한다.
재판장 대법관 이상훈 _________________________
주 심 대법관 신영철 _________________________
대법관 김용덕 _________________________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