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자살보험금/상해사망/의료사고/업무상재해

제목

[투신자살, 상해사망보험금 인정 최신 대법판례]우울장애 등을 겪다가 사망한 사람이 자살에 즈음한 시점에 환각, 망상, 명정 등의 상태에 있지 않았다는 사정만으로 자유로운 의사 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가 아니라고 단정해서는 안 된다, 대법원 2024. 5. 9. 선고 2021다297352 판결 [보험금]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05.28
첨부파일0
조회수
104
내용

대 법 원

1

판 결

사 건 2021297352 보험금

원고, 상고인 A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피고, 피상고인 B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담당변호사

원 심 판 결 서울중앙지방법원 2021. 11. 4. 선고 20218926 판결

판 결 선 고 2024. 5. 9.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사안의 개요

원심판결의 이유와 기록에 따르면 다음 사실을 알 수 있다.

 

. 원고는 피고와 사이에 피보험자를 원고의 아들 C으로 하는 재해사망보험계약을

체결하였다. 그 보험계약 약관에는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사유로 피보험자가 고의로

자신을 해친 경우를 두는 한편, 그 예외사유로 피보험자가 심신상실 등으로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자신을 해친 경우에는 보험금을 지급한다고 하고 있

.

. C2019. 1. 12. 10:50경 목포시 D 갯바위 인근에서 바다에 투신하여 사망하였

. 2. 원심판단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C이 자신의 생명을 끊는다는 것을 인식하고 그것을 목적

으로 의도적으로 자살한 것이지 정신질환이나 심신상실 등으로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자신을 해쳤다고 보기 어렵다고 보아 원고의 보험금청구를 받아들이

지 않았다.

3. 대법원의 판단

그러나 원심판단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 관련법리

사망을 보험사고로 하는 보험계약에서 자살을 보험자의 면책사유로 규정하고 있는

경우에도 피보험자가 정신질환 등으로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사망의

결과를 발생하게 한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은 아니므로, 피보험자가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사망의 결과를 발생하게 한 직접적인 원인행위가 외래의 요인에

의한 것이라면, 그 사망은 피보험자의 고의에 의하지 않은 우발적인 사고로서 보험사고인

사망에 해당할 수 있다(대법원 2015. 6. 23. 선고 20155378 판결 등 참조). 정신질환

 

등으로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사망의 결과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는

사망한 사람의 나이와 성행, 육체적정신적 상태, 정신질환의 발병 시기 및 진행경과와

정도, 자살에 즈음한 시점의 구체적인 증상, 사망한 사람을 에워싸고 있는 주위 상황과

자살 무렵의 사망한 사람의 행태, 자살행위의 시기 및 장소, 자살의 동기, 그 경위와

방법 및 태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11. 4. 28. 선고

200997772 판결, 대법원 2021. 2. 4. 선고 2017281367 판결, 대법원 2023. 5. 18.

선고 2022238800 판결 등 참조). 이때 사망한 사람이 생전에 우울장애 등의 진단을

받거나 관련 치료 등을 받아 왔고 그 증상과 자살 사이에 관련성이 있어 보이는 경우, 자살에 이르게 된 상황 전체의 양상과 과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우울장애 등으로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자살에 이르게 된 것인지를 판단하여야 하고, 특정 시점에서의 행위를 들어 그 상황을 섣불리 평가하여서는 안 된다(대법원 2023. 5.

18. 선고 2022238800 판결 참조). 또한 우울장애 등을 겪다가 사망한 사람이 자살에

즈음한 시점에 환각, 망상, 명정 등의 상태에 있지 않았다는 사정만으로 자유로운 의사

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가 아니라고 단정해서는 안 된다. . 인정되는 사정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따르면 다음 사정을 알 수 있다.

1) C(1996년생)은 청소년기부터 우울감, 불안감, 대인관계의 어려움 등을 겪었다. 2015. 1. 28.경에는 E병원에서 적응장애 진단을 받았고, 2017. 3. 24.F병원에서

타 습관 및 충동장애진단을 받고 항우울제 및 항불안제를 처방받았다. C2014년경

부터 2017. 12. 25.까지 사이에 목을 매거나 번개탄을 피우는 등의 방법으로 여러 차례

에 걸쳐 자살을 시도하였고, 이로 인해 2018. 1. 8.부터 9일간 입원치료를 받았다.

 

2) C2018. 10. 2. 군 훈련소에 입대하였으나 달리 분류되지 않는 정신건강의학적

상태를 이유로 2018. 10. 4. 귀가 조치되었다. 3) C2018. 10. 22. 다시 G병원에서 정신병적 증상이 없는 중증의 우울에피소드

진단을 받고 약물치료를 시작하였으나, 치료가 꾸준히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망인은 평

소 친구들에게 자살해야겠다는 말을 여러 차례 하였다. 4) 1심법원의 H병원장에 대한 진료기록감정촉탁 결과에서는 일반적으로 우울장

, 불안장애 환자들은 증상이 악화되면 정상적인 사고를 하지 못하게 되면서 자살 시

도로 나아갈 수 있다고 하였고, 피고의 자문의뢰에 대한 I병원의 회신에는 ‘C은 사망

전 진료기록에서 우울, 불안, 대인관계의 문제, 자살사고 및 자살시도 등의 병력이 뚜

렷하여 자살을 할 가능성이 높았던 상태였던 것으로 추정된다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

.

. 판단

1) 위와 같은 사정을 바탕으로 원심판결 이유를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

본다. C은 자살에 이를 때까지 오랫동안 우울증 등 정신질환에 시달리면서 계속적으로

자살 시도를 하였고 스스로 병원에 찾아가 여러 차례 진료를 받았음에도 호전되지 못

한 것으로 보인다. C에게 중증의 우울증 등 정신질환 이외에 자살에 이르게 될 다른 원

인이나 동기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C은 오랫동안 앓고 있던 우울증을 극복하지 못하

고 그로 인하여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자살에 이르렀다고 볼 여

지가 있다. 그렇다면 원심으로서는 C의 우울증 진료기록 등을 근거로 자살에 이를 때까

지 상황 전체의 양상과 과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C이 우울증 등으로 자유로운 의사

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자살에 이르게 된 것인지를 심리판단하였어야 한다.

 

2) 그럼에도 원심은 C의 정신과 진료 내역에서 지속적인 환각, 망상 등의 증상은 관찰

되지 않고, 부검 결과 중독물질이나 알콜의 사용 등 적절한 판단력과 의식의 손상을 일

으킬 원인이 확인되지 않은 사정이나 사전에 자살 방법과 장소를 계획하고 그 과정에

서 친구와 일상 안부를 주고받은 사정이 있음을 이유로 C이 자살 당시 자유로운 의사

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라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보험

계약 약관의 면책 예외사유 해석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

니한 잘못이 있다.

4.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재판장 대법관 김선수

대법관 노태악

주 심 대법관 오경미

대법관 서경환












 

 

http://www.insclaim.co.kr/41/10633256

자살보험금, 자살도 재해사망보험금 지급될 수 있습니다.

 




https://www.insclaim.co.kr/41/12409913

실종시 사망보험금을 어떻게 받나요?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