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사회적관심 판례

제목

[변호사법위반죄 공소시효]변호사법 제113조 제5호, 제31조 제1항 제3호 위반죄의 공소시효 기산점(수임행위가 종료한 때), 대법원 2017도18693 변호사법위반등 (차) 상고기각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2.01.21
첨부파일0
조회수
88
내용

[변호사법위반죄 공소시효]변호사법 제113조 제5, 31조 제1항 제3호 위반죄의 공소시효 기산점(수임행위가 종료한 때), 대법원 201718693 변호사법위반등 () 상고기각

 

[수임제한 위반으로 인한 변호사법위반죄에서 공소시효 완성 여부가 문제된 사건]

 

 

변호사법 제113조 제5, 31조 제1항 제3호 위반죄의 공소시효 기산점(수임행위가 종료한 때)

 

 

변호사법은 제31조 제1항 제3호에서 변호사는 공무원으로서 직무상 취급하거나 취급하게 된 사건에 관하여는 그 직무를 수행할 수 없다.’고 규정하면서 제113조 제5호에서 변호사법 제31조 제1항 제3호에 따른 사건을 수임한 변호사를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금지규정인 변호사법 제31조 제1항 제3호가 공무원으로서 직무상 취급하거나 취급하게 된 사건에 관한 직무수행을 금지하고 있는 반면 처벌규정인 변호사법 제113조 제5호는 공무원으로서 직무상 취급하거나 취급하게 된 사건수임한 행위를 처벌하고 있다. 위 금지규정에 관하여는 당초 처벌규정이 없다가 변호사법이 2000. 1. 28. 법률 제6207호로 전부개정되면서 변호사법 제31조의 수임제한에 해당하는 행위 유형 가운데 제31조 제1항 제3호에 따른 사건을 수임한 경우에만 처벌하는 처벌규정을 신설하였고, 다른 행위 유형은 징계 대상으로만 규정하였다(변호사법 제91조 제2항 제1). 이러한 금지규정 및 처벌규정의 문언과 변호사법 제90, 91조에 따라 형사처벌이 되지 않는 변호사법 위반 행위에 대해서는 징계의 제재가 가능한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변호사법 제113조 제5, 31조 제1항 제3호 위반죄의 공소시효는 그 범죄행위인 수임행위가 종료한 때로부터 진행된다고 봄이 타당하고, 수임에 따른 수임사무의 수행이 종료될 때까지 공소시효가 진행되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는 없다.

 

 

변호사인 피고인들이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등에서 공무원으로 재직하면서 조사를 담당한 사건과 관련된 소송사건을 공무원 퇴직 후 수임하여 소송수행을 한 사안임

 

수임제한 위반으로 인한 변호사법위반죄의 경우, 수임에 따른 수임사무의 수행이 종료될 때까지 공소시효가 진행되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 없고, 범죄행위인 수임행위가 종료한 때로부터 공소시효가 진행된다고 봄이 타당하다고 판시함

 

 

http://www.scourt.go.kr/sjudge/1642668521705_174841.pdf

 

 

 

http://www.insclaim.co.kr/21/8635655

[사망진단서 병사, 상해재해사망보험금수령한 손해사정사례 No.7052] 사망의 유발요인 외부인요인, 사망진단서상 병사이고 사망의 직접원인은 다발성장기부전-패혈증-복막염-직장천공 등이었으나 외인사를 입증하여 상해재해사망보험금을 수령한 손해사정사례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