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사회적관심 판례

제목

[취업규칙상 변경된 연봉제 규정 적용여부]법인이 교원의 급여체계에 관하여 기존의 호봉제를 연봉제로 변경하는 내용의 급여지급규정을 제정하여 시행하다가 뒤늦게 전임교원 과반수의 동의를 받은 사안, 대법원 2022. 1. 13. 선고 2020다232136 판결 〔임금〕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2.03.04
첨부파일0
조회수
64
내용

[취업규칙상 변경된 연봉제 규정 적용여부]법인이 교원의 급여체계에 관하여 기존의 호봉제를 연봉제로 변경하는 내용의 급여지급규정을 제정하여 시행하다가 뒤늦게 전임교원 과반수의 동의를 받은 사안, 대법원 2022. 1. 13. 선고 2020232136 판결 임금

 

 

 

[1] 근로기준법 제94조에서 정한 집단적 동의를 받아 근로자에게 불리한 내용으

로 취업규칙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취업규칙의 기준에 따라 그보다 유리한

근로조건을 정한 기존의 개별 근로계약의 내용이 변경되는지 여부(소극)

이때 근로자의 개별적 동의가 없는 한 취업규칙보다 유리한 근로계약의 내용

이 우선하여 적용되는지 여부(적극) / 위와 같은 법리는 근로자와 사용자가

취업규칙에서 정한 기준을 상회하는 근로조건을 개별 근로계약에서 따로 정

한 경우에 한하여 적용되는지 여부(적극)

 

[2] 학교법인이 설치운영하는 대학교의 조교수로 신규 임용된 후 계속

재임용되다가 교수로 승진임용되었는데, 법인이 교원의 급여체계에 관하

여 기존의 호봉제를 연봉제로 변경하는 내용의 급여지급규정을 제정하여 시

행하다가 뒤늦게 전임교원 과반수의 동의를 받은 사안에서, 법인은

급여규정 등이 규정한 바에 따라 급여를 지급받기로 하는 외에 별도로 임용

계약서를 작성하거나 임금 등 근로조건에 관하여 약정을 체결하지 않았으므

, 적어도 연봉제 임금체계에 대하여 근로자 과반수의 동의를 얻은 후에는

에게 취업규칙상 변경된 연봉제 규정이 적용된다고 한 사례

 

 

 

[1] 근로기준법 제97조는 취업규칙에서 정한 기준에 미달하는 근로조건을 정한

근로계약은 그 부분에 관하여는 무효로 한다. 이 경우 무효로 된 부분은 취

업규칙에 정한 기준에 따른다.”라고 정하고 있다. 근로기준법 제97조를 반대

해석하면, 취업규칙에서 정한 기준보다 유리한 근로조건을 정한 개별 근로계

약 부분은 유효하고 취업규칙에서 정한 기준에 우선하여 적용된다.

한편 근로기준법 제94조는 사용자는 취업규칙의 작성 또는 변경에 관하여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

는 노동조합,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다만 취업규칙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

는 경우에는 그 동의를 받아야 한다.”라고 정하고 있다. 위 규정은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정하는 취업규칙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려고 할 경우 근

로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집단적 동의를 받을 것을 요건으로 정한

것이다.

그리고 근로기준법 제4조는 근로조건은 근로자와 사용자가 동등한 지위에

서 자유의사에 따라 결정하여야 한다.”라고 정하고 있다. 위 규정은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근로조건을 결정하여서는 아니 되고, 근로조건은 근로관계 당사

자 사이에서 자유로운 합의에 따라 정해져야 하는 사항임을 분명히 함으로써

근로자를 보호하고자 하는 것이 주된 취지이다.

이러한 각 규정 내용과 취지를 고려하면, 근로기준법 제94조가 정하는 집

단적 동의는 취업규칙의 유효한 변경을 위한 요건에 불과하므로, 취업규칙이

집단적 동의를 받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된 경우에도 근로기준법 제4

가 정하는 근로조건 자유결정의 원칙은 여전히 지켜져야 한다.

따라서 근로자에게 불리한 내용으로 변경된 취업규칙은 집단적 동의를 받

았다고 하더라도 그보다 유리한 근로조건을 정한 기존의 개별 근로계약 부분

에 우선하는 효력을 갖는다고 할 수 없다. 이 경우에도 근로계약의 내용은

유효하게 존속하고, 변경된 취업규칙의 기준에 의하여 유리한 근로계약의 내

용을 변경할 수 없으며, 근로자의 개별적 동의가 없는 한 취업규칙보다 유리

한 근로계약의 내용이 우선하여 적용된다.

그러나 근로기준법 제4, 94조 및 제97조의 규정 내용과 입법 취지를

고려할 때, 위와 같은 법리는 근로자와 사용자가 취업규칙에서 정한 기준을

상회하는 근로조건을 개별 근로계약에서 따로 정한 경우에 한하여 적용될 수

있는 것이고, 개별 근로계약에서 근로조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정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하는 근로조건이 근로자에게 적용된다고

보아야 한다.

 

[2] 학교법인이 설치운영하는 대학교의 조교수로 신규 임용된 후 계속

재임용되다가 교수로 승진임용되었는데, 법인이 교원의 급여체계에 관하

여 기존의 호봉제를 연봉제로 변경하는 내용의 급여지급규정을 제정하여 시

행하다가 뒤늦게 전임교원 과반수의 동의를 받은 사안에서, 이 기존의 호

봉제가 시행되던 때 법인의 조교수로 신규 임용된 이래 법인 사

이의 근로관계가 계속되어 왔을 뿐 법인은 급여규정 등이 규정한 바

에 따라 급여를 지급받기로 하는 외에 별도로 임용계약서를 작성하거나 임금

등 근로조건에 관하여 약정을 체결하지 않았으므로, 적어도 연봉제 임금체계

에 대하여 근로자 과반수의 동의를 얻은 후에는 에게 취업규칙상 변경된

연봉제 규정이 적용된다고 봄이 타당한데도, 이와 달리 본 원심판단에 법리

오해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http://www.insclaim.co.kr/21/8635659

[심신미약 심신상실 자살보험금 보상사례]심신미약이나 심신상실은 우울증, 조현병,불면증, 공황장애, 스트레스, 음주, 수면제, 마약, 본드 등 극도의 흥분상태에 자살한 경우 자살보험금으로 재해사망이나 상해사망보험금 보상사례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