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관심 판례
- 제목
-
[부동산매매계약 손해배상]부동산 매수인이 매매목적물에 관한 근저당권의 피담보채무를 인수하고 그 채무액을 매매대금에서 공제하기로 약정한 경우, 이를 이행인수로 보아야 하는지 여부 및 이행인수계약의 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의 범위, 대법원 2021. 11. 25. 선고 2020다294516 판결 〔손해배상(기)〕
- 작성일
- 2022.01.19
- 첨부파일0
- 조회수
- 96
[부동산매매계약 손해배상]부동산 매수인이 매매목적물에 관한 근저당권의 피담보채무를 인수하고 그 채무액을 매매대금에서 공제하기로 약정한 경우, 이를 이행인수로 보아야 하는지 여부 및 이행인수계약의 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의 범위, 대법원 2021. 11. 25. 선고 2020다294516 판결 〔손해배상(기)〕
[1] 부동산 매수인이 매매목적물에 관한 근저당권의 피담보채무를 인수하고 그
채무액을 매매대금에서 공제하기로 약정한 경우, 이를 이행인수로 보아야 하
는지 여부(원칙적 적극) 및 이행인수계약의 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의 범위
[2] 채무불이행으로 채권자가 제3자에 대해 채무를 부담하게 된 경우,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제3자에 대한 채무액과 같은 금액을 손해배상금으로 청구하기 위
한 요건
[3] 甲 소유의 부동산에 채무자 甲, 근저당권자 乙 축산업협동조합으로 하는 근
저당권설정등기가 마쳐진 상태에서, 丙이 丁에게 위 부동산을 매도하는 내용
의 매매계약을 체결하면서 위 근저당권이 담보하는 대출금채무를 丁이 승계
하는 대신 중도금의 전부나 일부로 대체하기로 하였고, 그 후 丙이 甲과 체
결한 약정에 따라 위 부동산에 관하여 자기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한 다
음 丁 앞으로 매매계약에 따른 소유권이전등기를 하였는데, 丁이 대출금채무
에 대한 인수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甲이 대출금 이자 등을 지급하는 손해를
입게 되자, 甲이 丁을 상대로 丙을 대위하여 채권자대위에 따른 손해배상청
구를 제기하여 丙의 손해배상채권의 소멸시효 기산점이 문제된 사안에서, 丙
에게 손해가 현실적으로 발생한 시점을 심리하여 소멸시효가 완성되었는지
판단하였어야 하는데도, 이에 관한 심리 없이 중도금 지급기일부터 소멸시효
가 진행하였다고 본 원심판단에 법리오해 등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1] 부동산의 매수인이 매매목적물에 관한 근저당권의 피담보채무를 인수하고 그
채무액을 매매대금에서 공제하기로 약정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매
도인을 면책시키는 채무인수가 아니라 이행인수로 보아야 한다. 이행인수계
약의 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의 범위는 원칙적으로 채무자가 채무의 내용
에 따른 이행을 하지 않음으로써 생긴 통상의 손해를 한도로 한다. 매수인이
인수하기로 한 근저당권의 피담보채무를 변제하지 않아 원리금이 늘어났다면
그 원리금이 매수인의 이행인수계약 불이행으로 인한 통상의 손해액이 된다.
[2] 소멸시효는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부터 진행한다(민법 제166조 제1항). 채
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은 현실적으로 손해가 발생한 때에 성립한
다. 채무불이행으로 채권자가 제3자에 대해 채무를 부담하게 된 경우 채권자
가 채무자에게 제3자에 대한 채무액과 같은 금액을 손해배상금으로 청구하기
위해서는 채무의 부담이 현실적⋅확정적이어서 실제로 변제해야 할 성질의
것이어야 한다. 그와 같은 채무의 부담이 현실적⋅확정적이어서 손해가 현실
적으로 발생하였다고 볼 것인지는 사회통념에 비추어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3] 甲 소유의 부동산에 채무자 甲, 근저당권자 乙 축산업협동조합으로 하는 근
저당권설정등기가 마쳐진 상태에서, 丙이 丁에게 위 부동산을 매도하는 내용
의 매매계약을 체결하면서 위 근저당권이 담보하는 대출금채무를 丁이 승계
하는 대신 중도금의 전부나 일부로 대체하기로 하였고, 그 후 丙이 甲과 체
결한 약정에 따라 위 부동산에 관하여 자기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한 다
음 丁 앞으로 매매계약에 따른 소유권이전등기를 하였는데, 丁이 대출금채무
에 대한 인수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甲이 대출금 이자 등을 지급하는 손해를
입게 되자, 甲이 丁을 상대로 丙을 대위하여 채권자대위에 따른 손해배상청
구를 하여 丙의 손해배상채권의 소멸시효 기산점이 문제된 사안에서, 丁이
중도금 지급기일에 인수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는 사정만으로 곧바로 丙에게
손해가 현실적으로 발생하였다고 볼 수는 없고, 甲이 이자 등을 지급한 때
丙에 대하여 채무불이행에 따른 손해배상청구권을 갖게 되며, 그때 丙에게
丁의 이행인수계약 불이행에 따른 손해가 현실적으로 발생하였다고 볼 수 있
으므로, 丙에게 손해가 현실적으로 발생한 시점을 심리하여 소멸시효가 완성
되었는지 판단하였어야 하는데도, 이에 관한 심리 없이 중도금 지급기일부터
소멸시효가 진행하여 이미 소멸시효가 완성되었다고 본 원심판단에 소멸시효
기산점 등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http://insclaim.co.kr/21/8635431
[폐렴사망, 사고기여도100% 상해사망보험금인정사례] 고령의 피보험자가 넘어져 두부손상으로 1년8개월 치료중 폐렴사망, 기왕증공제70%주장에 상해사망보험금 전액인정받은 사례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