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사회적관심 판례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711 [인과관계]살인의 실행행위와 사망 사이의 인과관계 유무의 판단기준, 살인죄의 범의,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2항이 피고인과 공범관계에 있는 다른 피고인 또는 피의자에 대한 관계에서도 적용되는지 여부대법원 1994. 3. 22.선고 93도3612 판결 [살인,살인미수,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도로교통법위반] 관리자 2021.01.27 111
1710 [인과관계]고등학교 교사가 제자의 잘못을 징계코자 왼쪽뺨을 때려 뒤로 넘어지면서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 위 피해자는 두께0.5미리밖에 안되는 비정상적인 얇은 두개골이었고 또 뇌수송을 가진 심신허약자로서 좌측뺨을 때리자 급성뇌성압상승으로 넘어지게 된 것이라면 위 소위와 피해자의 사망간에는 이른바 인과관계가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 대법원 1978. 11. 28. 선고 78도1961 판결 [폭행치사] 관리자 2021.01.27 111
1709 [인과관계]심장질환이 있는 자에 대하여 폭행을 가함으로써 그 충격으로 사망케 한 경우, 위 폭행과 그 사망간의 인과관계 유무, 대법원 1986. 9. 9., 선고, 85도2433, 판결[폭행치사] 관리자 2021.01.27 155
1708 [인과관계]택시 운전자인 피고인이 교통신호를 위반하여 진행한 과실로 교차로 내에서 甲이 운전하는 승용차와 충돌하여 甲 등으로 하여금 상해를 입게 하였다고 하여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위반으로 기소된 사안, 대법원 2012. 3. 15., 선고, 2011도17117, 판결 [교통사고 처리 특례법 위반] 관리자 2021.01.27 92
1707 [즉시범과 계속범] 구 농지법상 ‘농지’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판단 기준, 무허가 농지전용죄의 성격, 농지에 잡석 등을 깔아 정지작업이 이루어져 사실상 원상회복이 어렵게 된 토지를 전용하였다는 공소사실에 대하여, 공소 범행 당시 농지로서의 현상을 상실한 토지를 사용한 것이 농지전용죄를 구성하는지 여부를 먼저 살펴본 다음 공소시효의 기산점을 판단하여야 한다, 대법원 2009. 4. 16.선고 2007도6703 전원합의체 판결 [농지법위반] 관리자 2021.01.26 153
1706 [법인의 형사처벌, 대표자의 불법행위]구 농산물품질관리법 제37조 중 “법인의 대표자가 그 법인의 업무에 관하여 제34조의2의 위반행위를 한 때에는 그 법인에 대하여도 해당조의 벌금형을 과한다.”는 부분(이하'대표자 관련부분' 이라 한다)이 책임주의에 반하여 헌법에 위반되는지 여부, 헌법재판소 2010.7.29.선고 2009헌가25,29,36,2010헌가6,25(병합)ᅠ전원재판부) 구 농산물품질관리법 제37조 위헌제청 관리자 2021.01.26 308
1705 [법인의 형사처벌]‘사행행위 등 규제 및 처벌특례법’ 제31조 중 “법인의 대리인ㆍ사용인 기타 종업원이 그 법인의 업무에 관하여 제30조 제2항 제1호의 위반행위(무허가 사행행위 영업)를 한 때에는 그 법인에 대하여도 동조의 벌금형을 과한다”는 부분(이하 ‘이 사건 법률조항’이라 한다)이 책임주의에 반하여 헌법에 위반되는지 여부, 헌법재판소 2009.7.30. 선고 2008헌가14ᅠ전원재판부 사행행위 등 규제 및 처벌특례법 제31조 위헌제청 관리자 2021.01.26 149
1704 [배임죄 법인의 범죄능력]타인의 사무를 처리할 의무의 주체가 법인인 경우 그 법인의 대표기관이 배임죄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 여부, 대법원 1984. 10. 10. 선고 82도2595 전원합의체 판결 배임죄 관리자 2021.01.26 78
1703 [외국에서 받은 형의 산입]‘외국에서 집행된 형의 산입’ 규정인 형법 제7조의 취지 / 형법 제7조에서 정한 ‘외국에서 형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집행된 사람’의 의미 및 형사사건으로 외국 법원에 기소되었다가 무죄판결을 받기까지 상당 기간 미결구금된 사람이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그 미결구금 기간이 형법 제7조에 의한 산입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 대법원 2017. 8. 24. 선고 2017도5977 전원합의체 판결 살인(외국에서의 미결구금에 대해 형법 제7 관리자 2021.01.26 120
1702 [장소적 적용범위 형법]형법 제6조 본문에서 정한 ‘대한민국 또는 대한민국 국민에 대하여 죄를 범한 때’의 의미, 캐나다 시민권자인 피고인이 캐나다에서 위조사문서를 행사하였다는 내용으로 기소된 사안, 대법원 2011. 8. 25. 선고 2011도6507 판결 특정 경제범죄 가중처벌등에 관한 법률위반(사기)·사기·위조 사문서 행사 관리자 2021.01.26 212
1701 [시간적적용범위 형법]‘위계간음죄’를 규정한 구 형법 제304조의 삭제가 범죄 후의 법령개폐로 범죄를 구성하지 않게 되어 형이 폐지되었을 때에 해당하는지 여부, 대법원 2014. 4. 24. 선고 2012도14253 판결 [준강간] 관리자 2021.01.26 94
1700 [책임주의]종업원의 위반행위에 대하여 양벌조항으로서 개인인 영업주에게도 동일하게 무기 또는 2년 이상의 징역형의 법정형으로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보건범죄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6조 중 제5조에 의한 처벌 부분(이하 ‘이 사건 법률조항’이라 한다)이 형사법상 책임원칙에 반하는지 여부, 헌법재판소ᅠ2007.11.29.ᅠ선고ᅠ2005헌가10ᅠ전원재판부 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 제6조 위헌제청 관리자 2021.01.26 110
1699 [형벌불소급원칙 평등의원칙]행위 당시의 판례에 의하면 처벌대상이 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던 행위를 판례의 변경에 따라 확인된 내용의 형법 조항에 근거하여 처벌한다고 하여 그것이 헌법상 평등의 원칙과 형벌불소급의 원칙에 반한다고 할 수는 없다., 대법원 1999. 9. 17. 선고 97도3349 판결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 (재산국외도피·업무상배임) 공문서변조 변조공문서행사 관리자 2021.01.26 114
1698 [확장해석금지 최형법정주의]형벌법규의 해석은 엄격하여야 하고, 문언의 가능한 의미를 벗어나 피고인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해석하는 것은 죄형법정주의의 내용인 확장해석금지에 따라 허용되지 아니한다, 대법원 2017. 12. 21 선고 2015도8335 전원합의체 판결 항공보안법위반·강요·업무방해·위계공무집행방해·증거인멸(인정된죄명:증거인멸교사)·증거은닉(인정된죄명:증거은닉교사)·공무상비밀누설 관리자 2021.01.26 168
1697 [유추적용금지 죄형법정주의]형벌법규의 해석에 있어서 법규정 문언의 가능한 의미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유추해석으로서 죄형법정주의에 위반, 범행발각이나 지명수배 여부와 관계없이 체포 전에만 자수하면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262조의 자수에 해당하는지 여부, 대법원 1997. 3. 20. 선고 96도1167 전원합의체 판결[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위반] 관리자 2021.01.26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