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보험의학자료

제목

유방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4.03.07
첨부파일0
조회수
1842
내용

정의

유방암은 유방 내에만 머무는 양성종양과 달리 유방 밖으로 퍼져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악성 종양입니다. 유방에 있는 많은 종류의 세포 중 어느 것이라도 암이 될 수 있으므로 유방암의 종류는 매우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유방암이 유관(젖줄)과 소엽(젖샘)에 있는 세포 그 중에서도 유관세포에서 기원하므로 일반적으로 유방암이라 하면 유관과 소엽의 상피세포에서 기원한 암을 말합니다.

종류

유방암은 암이 기원한 세포의 종류 및 침윤 정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됩니다.
유방암은 발생 부위에 따라 유관과 소엽 등의 실질조직에서 생기는 암과 그 외 간질조직에서 생기는 암으로 나눌 수 있으며, 유관과 소엽에서 발생하는 암은 다시 암세포의 침윤 정도에 따라 침윤성 유방암과 비침윤성 유방암(상피내암)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침윤성 유방암은 유관이나 소엽의 기저막을 침범한 암으로서 비침윤성 유방암보다 진행한 상태이므로 더 나쁜 예후를 보이게 되고 , 비침윤성 유방암은 자신의 구역 내에 한정되어 있는 아주 초기의 암이라 할 수 있습니다.
 
 

침윤성 유관암

유관을 이루고 있는 세포에서 기원한 암으로 암이 유관의 기저막을 침범한 경우입니다. 전체 유방암의 약 75-85%를 차지하는 가장 대표적인 유방암입니다.
 
침윤성 소엽암
소엽을 이루는 세포에서 기원한 암으로 전체 유방암의 약 5-10%를 차지합니다. 이 암의 예후는 침윤성 유관암과 비슷하지만, 침윤성 유관암에 비해 다발성 및 양측성의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유관 상피내암(비침윤성)
유관을 이루는 세포에서 생긴 암으로, 유관의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은 0기 암이라고도 합니다. 침윤성 유방암보다 훨씬 예후가 좋지만 암세포가 기저막을 뚫고 성장할 경우 침윤성 유관암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소엽 상피내암(비침윤성)
소엽을 이루는 세포에서 생긴 암으로, 소엽의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은 0기암입니다. 유관 상피내암에 비해 젊은 연령층에 흔하고 다발성, 양측성의 빈도가 높습니다. 이 또한 암세포가 기저막을 뚫고 성장할 경우 침윤성 유관암 및 침윤성 소엽암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파제트병
유두 및 유륜의 피부에 주로 발생하는 유방암의 특수한 형태로 전체 유방암의 1-2% 미만의 드문 암입니다.
 
침윤성 유방암의 기타 종류
점액성암, 수질성암, 유두상암, 관상암, 선양낭성 양종, 분비성 암종, 아포크린 암종, 화생성 암종 등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남성 유방암
여성 유방암의 약 1% 이하의 빈도로, 침윤성 유관암이 가장 흔합니다.
 
 
진행단계
 
유방암의 병기는 종괴의 크기, 주변 림프절로의 전이, 다른 장기에 침범한 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4가지로 분류됩니다. 병기는 병의 진행 상태를 알려주기 때문에 병기의 결정은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척도입니다.

종괴의 크기(T), 림프절 전이 정도(N), 다른 장기 침범 여부(M)를 조합하여 흔히 말하는 병기를 1~4기로 크게 분류하고, 세부적으로 A, B로 구분하게 됩니다. 병기별로 TNM의 조합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유방암의 병기 ]

TNM병기

정의

종괴의 크기(T)

Tis

상피내암

T0

종양의 크기가 불분명할 때

T1

종양의 크기가 2cm 이하

T2

종양의 크기가 2cm~5cm

T3

종양의 크기가 5cm 초과

T4

종양이 흉벽, 피부를 침범하거나 염증성 유방암일 때

림프절 전이(N)

N0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없을 때

N1

암세포가 전이된 겨드랑이 림프절이 3개 이하

N1mi

림프절에 전이된 암조직의 크기가 2mm 이하의 미세 전이

N2

암세포가 전이된 겨드랑이 림프절이 4~9개

N3

암세포가 전이된 겨드랑이 림프절이 10개 이상, 또는 쇄골상부 림프절 전이가 있을 때

다른 장기 침범 여부(M)

M0

다른 장기에 전이가 없을 때

M1

다른 장기에 전이가 있을 때

 

병기

종괴의 크기(T)

림프절 전이(N)

타장기 침범(M)

0기

Tis

N0

M0

1A기

T1

N0

M0

1B기

T0

N1mi

M0

T1

N1mi

M0

2A기

T0

N1

M0

T1

N1

M0

T2

N0

M0

2B기

T2

N1

M0

T3

N0

M0

3A기

T0

N2

M0

T1

N2

M0

T2

N2

M0

T3

N1

M0

T3

N2

M0

3B기

T4

N0

M0

T4

N1

M0

T4

N2

M0

3C기

모든 T

N3

M0

4기

모든 T

모든 N

M1

 

재발 및 전이

유방암 치료 후 재발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환자에게 도움이 됩니다. 전이 병변을 조기에 발견하면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며, 완치될 가능성이 높고 , 장기간 편안하게 우수한 삶의 질을 유지하며 살아갈 수 있습니다. 아울러 환자에게 정신적인 위안을 줄 수 있습니다.
유방절제술 후 국소 재발
80%-90%가 처음 치료 후 5년 이내에 발생하고 거의 대부분의 경우 10년 이내에 발생하지만, 처음 수술로부터 15-20년이 지난 후에 발생하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국소 재발이 발견된 경우에는 가능하면 외과적인 수술로 절제하는 것이 좋고 , 그 밖에도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유방보존술 후 국소 재발
유방보존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한 환자의 약 10-15%에서 국소 재발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유방보존술 후 재발하는 경우는 유방절제술 후 재발하는 경우보다 예후가 좀 더 좋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는데, 이는 유방보존술이 비교적 초기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되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이 경우의 치료 방법에는 수술 ,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등이 있습니다.
전이성 재발
처음 진단 시에는 원격 전이가 없고 , 유방암에 대한 치료 후 추적검사를 받던 중 유방 외의 장기에서 재발이 확인되는 경우를 말하며, 이는 국소 재발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지만, 때로 국소 재발없이 전이성 재발만 확인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다른 장기로 전이된 유방암의 경우 일반적으로 치료에 대한 반응 및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전이 장소로는 뼈에 전이되는 경우가 가장 많고 , 그 다음 폐, 간, 중추신경계 등의 순서입니다. 그 증상은 환자의 상태나 전이 장소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치료방법을 동원해서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유방암도 항상 재발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방암을 완전히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듯이 유방암의 재발을 완전히 막을 수 있는 방법도 없습니다. 따라서 유방암의 진단 후에 치료를 잘 받은 것도 중요하지만,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초기에 재발을 발견하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출처 : 국가암정보센터


 

http://insclaim.co.kr/21/8635568

[암우울증 암후유증 통증 스트레스 자살, 자살재해사망보험금 수령한 손해사정사례 No7030.]

 

http://insclaim.co.kr/21/8635548

[알콜중독 자살재해사망보험금인정사례] 알콜의존증, 알콜성간염, 우울증에피소드 등으로 과거에 치료받았던 병력이 있는 변사자가 사망당시 갑자기 주거지 아파트에서 투신자살(추락사망)사건에서 재해사망을 인정한 자살 재해사망보험 손해사정사례입니다.

 

http://insclaim.co.kr/21/8635536

[급성약물중독 재해사망인정사례]우울증으로 치료중 고관절전치환술후 고생하다가 음주후 수면제-자나팜정, 우울증약-에나프정 등 우울증약 과다복용으로 인한 약물중독으로 사망한 사건(추정)에서 재해사망보험금 수령한 손해사정사례입니다.

 

http://insclaim.co.kr/21/8635472

[공무원단체보험 우울증자살 상해사망인정사례]우울증으로 아파트 투신자살(추락사)하여 공무원단체보험의 상해사망보험금을 수령한 손해사정사례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