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보험의학자료

제목

전립선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4.03.07
첨부파일0
조회수
2343
내용

정의

정상적인 세포는 일정기간 생존하면서 기능을 하고 사멸하는데, 어떤 경우에는 세포가 사멸하지 않고 계속 증식하여 종괴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러한 종괴를 종양이라 하는데 전립선 종양에는 전립선 비대증과 같은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인 전립선암으로 나뉩니다.

전립선암 세포는 정상적인 통제에서 벗어난 증식을 하며, 계속 성장하면서 주변의 다른 조직으로 침윤하거나 혈관이나 림프관을 침범하여 멀리 떨어진 조직으로 전이를 하게 됩니다. 전립선에서 발생하는 암의 대부분은 전립선 세포에서 발생하는 선암입니다. 전립선암은 말초대(peripheral zone)에서 70-80%, 이행대(transition zone)에서 20%내외, 그리고 중심대 (cental zone)에서 5%정도가 발생합니다. 전립선의 말초대나 이행대는 모두 요생식동(urogenital sinus)에서 기원하고 있으나 중심대는 이와는 달리 암 발생이 거의 없는 정낭과 함께 중신관(mesonephric duct)에서 기원하기 때문에 암 발생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생각됩니다.

종류

전립선암의 조직학적 분류에는 임상적 예후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며, 그 외에 선 조직의 분화 정도, 세포학적 이형성 정도, 핵의 이상소견 등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여러 분화도 분류법 중, 재현성과 예후에 대한 예측성이 높은 Gleason에 의한 분류법이 가장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이 방법은 약확대 현미경 하에서 보았을 때 나타나는 선 (腺)의 형태(architecture)를 분화가 제일 좋은 1등급에서부터 가장 나쁜 5등급까지로 나눈 다음 가장 많이 나타나는 양상과 그 다음으로 많이 나타나는 양상의 분화도를 합쳐서 나타내며 Gleason score 라고 합니다.
[ 글리슨(Gleason) 등급 체계 ]

등급

선의 형태

1등급

밀집하여 뭉쳐진, 하나의, 분리된, 둥근, 단일 형태의 선들: 잘 구분되는 종양의 경계

2등급

하나의, 분리된, 둥근, 비교적 단일 형태의 선들로 한 개의 선 크기에 이르는 기질층에 분리됨: 비교적 구분되는 종양의 경계

3등급

하나의, 분리된, 여러 가지 크기의 불규칙적인 선들: 체모양 또는 유두상모양의 종양으로 경계가 불분명함

4등급

침습적인 코드를 가진 융합된 선들을 가진 종양, 유두상, 체모양 또는 고형의 작은 선들로 구성: 세포는 작고 검거나 투명하다

5등급

면포 모양의 종양배경에 선들이 거의 없으며 기질층을 침습하는 종양세포의 코드형 또는 판형으로 구성

글리슨(Gleason)점수 = 주된 형태 + 보조적 형태

글리슨 점수(Gleason score) 4이하는 분화도가 아주 좋은 것이고, 5-7은 중등도 이고 , 8이상은 분화도가 좋지 않은 것입니다. 그러나 글리슨 점수 7이상은 피막의 침범, 정낭 침범, 절제 변연 양성, 림프절 전이의 의미 있는 예후 인자로 생각되어 임상적으로 나쁜 분화도의 전립선암으로 간주됩니다. 전립선에서 생기는 암의 95%는 관선방 분비 상피(duct-acinar secretory epithelium)에서 발생하는 선암이고, 5%는 이행 세포암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선암의 85%는 주로 말초대에서 발생합니다. 전립선에 생긴 전암성 변화를 전립선 상피내 신생물이라고 하는데 이는 전립선암 환자의 약 1/3에서 발견됩니다. 분화도가 나쁜 고악성도 전립선 상피내 신생물은 침윤성 전립선암의 80%에서 발견되며, 분화도가 좋은 저악성의 전립선 상피내 신생물은 침윤성 전립선암의 20%에서 발견되어 고악성도의 전립선 상피내 신생물은 전립선암의 전구병변으로 생각됩니다.
 

진행단계

전립선암이라고 진단된 후에는 적절한 치료 방법의 결정과 향후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 암이 어디까지 퍼져 있는지를 검사하는 소위 "병기 검사"를 하게 됩니다.

전립선암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는데, 첫째 암세포가 전립선 내에 국한된 국소 전립선암(1기, 2기), 둘째 임상적으로 림프절이나 다른 부위에 전이는 없으나 암이 전립선을 벗어난 경우를 의미하는 국소적으로 진행된 전립선암(3기), 셋째 주위 장기나 림프절, 뼈, 폐 등의 다른 장기로의 전이가 있는 전이 전립선암(4기)이 그것입니다. 각각의 경우에 환자의 연령, 건강상태, 종양의 병기, 분화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게 됩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립선암의 병기 분류법은 TNM 병기 분류법입니다. 쥬웨트 병기 분류법도 사용하며 전립선암을 병기 A, B, C, D로 분류합니다
 
[ 전립선암의 TNM 병기분류법 (2002년, 제 6판) ]

TNM 병기

원발병소(T)

원발종양이 검사되지 않은 경우

TX

원발종양의 증거가 없는 경우

T0

촉지되지 않고 영상조영에서 보이지 않는 종양

T1

촉지되지 않고 영상조영에서 보이지 않는 종양

절제된 조직의 5%이하로 우연히 발견된 종양

T1a

절제된 조직의 5%이상으로 우연히 발견된 종양

T1b

침생검에서 발견된 암(PSA상승)

T1c

전립선 안에 국한된 촉지되는 종양

T2

전립선 안에 국한된 촉지되는 종양

한쪽 전립선엽의 1/2 이하를 차지하는 종양

T2a

한쪽 전립선 엽의 1/2 이상을 차지하는 종양

T2b

양쪽 전립선엽을 차지하는 종양

T2c

전립선 피막을 넘은 종양

T3

전립선 피막을 넘은 종양

피막 밖으로 침윤한 경우

T3a

피막 밖으로 침윤한 종양으로 절제연 양성인 경우

정낭을 침윤한 종양

T3b

고정되어 있거나 정낭 이외의 주위조직을 침윤한 경우 (방광경부, 외요도 괄약근, 직장, 항문거근, 골반 측벽)

T4

림프절(N)

림프절 전이유무가 검사되지 않은 경우

NX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N0

국소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N1

전이(M)

전이유무가 검사되지 않은 경우

MX

전이가 없는 경우

M0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

M1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

원격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M1a

골전이가 있는 경우

M1b

타장기 전이가 있는 경우

M1c

 

병기

분류

Stage Ⅰ(1기)

T1a, T1b 또는 T1c, NO, MO

Stage A1,A2(A1기, A2기)

전립선 비대증 수술시 우연히 발견되는 것으로서 직장수지검사로 촉진할 수 없습니다.

Stage Ⅱ(2기)

T2a, T2b, T2c, N0, M0

Stage B1, B2(B1기, B2기)

직장수지검사로 소결절을 촉지할 수 있습니다.

Stage Ⅲ(3기)

T3, N0, M0

Stage C(C기)

인접 장기 즉 정낭,혹은 골반강으로 침윤된 것을 촉지할 수 있습니다.

Stage Ⅳ(4기)

T4, N0, M0; any T, N1-3, M0; any T, any N, M1

Stage D1, D2(D1기, D2기)

원격 전이 즉, 혈류나 림프전을 따라 골, 간, 폐, 뇌로 전이된 것입니다

 

재발 및 전이

전립선암의 치료 중이나 치료 후에 주기적으로 전립선암이 재발 혹은 진행하였는지에 대해 검사가 필요하며 다른 치료가 필요한가에 대해서도 평가해야 합니다. 검사는 혈청 전립선 특이 항원(PSA) 검사와 직장 수지 검사, 방사선 검사 그리고 방사선 동위 원소 검사 등이 있습니다. 전립선암의 전이는 골반 림프절을 비롯한 림프절과 뼈 등에 잘 일어나므로 이런 부위들의 전이 유무를 우선적으로 검사를 통해 확인합니다.
생화학적 재발
국소적 전립선암의 근치적 치료 후 생화학적 재발은 보통 치료 후 첫 5년 안에 약 30%에서 일어나며 약 8년 후에는 임상적 재발이 일어난다고 하였습니다. 혈청 전립선 특이 항원(PSA)이 증가하는 생화학적인 재발이 발생하더라도 반드시 임상적인 재발을 하는 것은 아니며, 임상적인 재발이 발생하더라도 그 시기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국소적 전립선암에 대한 근치적인 치료 후 임상경과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생화학적 재발이 있더라도 정립된 치료 방침이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림프계 전이
전립선암은 흔히 림프계를 통하여 전이되며 그 빈도는 종양의 크기, 병기 및 생물학적 성질과 연관성이 있습니다. 림프절의 침범이 있는 경우에는 근치적 수술이 환자의 생존 기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림프절 침범의 위험성이 큰 환자군에 대하여는 비수술적 치료법이 적응증이 되며 또한 필요 없는 림프절 절제술을 줄일 수 있습니다.
혈행성 전이
80%의 환자에서 혈관계를 통한 전신 전이로 뼈의 전이 병소가 관찰 됩니다.

전이는 림프절 중에서는 폐쇄 림프절에 가장 많이 전이되고 혈행성으로는 골 전이가 가장 많아 전립선암으로 사망하는 환자의 85%에서 발견됩니다. 이 가운데 순수 골형성성 전이가 80%, 순수 골흡수성 전이가 5%, 혼합 전이가 15% 가량 됩니다. 빈번한 전이 장소로는 요추, 골반, 대퇴골의 근위부, 흉추, 늑골, 흉골 및 두개골 순입니다. 이와 같이 골 전이가 몸통 골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척추에 있는 천골전 정맥의 정맥총이 전립선 앞부분과 전립선 주위의 정맥총과 교통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 외의 원격 전이는 폐, 간 등으로 폐 전이는 전립선암으로 사망하는 환자의 25-38%에서 나타납니다.
 

출처 : 국가암정보센터


http://insclaim.co.kr/21/8635568

[암우울증 암후유증 통증 스트레스 자살, 자살재해사망보험금 수령한 손해사정사례 No7030.]

 

http://insclaim.co.kr/21/8635548

[알콜중독 자살재해사망보험금인정사례] 알콜의존증, 알콜성간염, 우울증에피소드 등으로 과거에 치료받았던 병력이 있는 변사자가 사망당시 갑자기 주거지 아파트에서 투신자살(추락사망)사건에서 재해사망을 인정한 자살 재해사망보험 손해사정사례입니다.

 

http://insclaim.co.kr/21/8635536

[급성약물중독 재해사망인정사례]우울증으로 치료중 고관절전치환술후 고생하다가 음주후 수면제-자나팜정, 우울증약-에나프정 등 우울증약 과다복용으로 인한 약물중독으로 사망한 사건(추정)에서 재해사망보험금 수령한 손해사정사례입니다.

 

http://insclaim.co.kr/21/8635472

[공무원단체보험 우울증자살 상해사망인정사례]우울증으로 아파트 투신자살(추락사)하여 공무원단체보험의 상해사망보험금을 수령한 손해사정사례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